주휴수당1 아직도 못받았다고?? 알바비를 "복사"해주는 주휴수당 계산법! 2019년 최저임금 인상 이후 근로자들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유급휴일 하루를 더 쉴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사업장에서는 이를 제대로 지키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내가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은 어떻게 계산할까? 또 미지급된 주휴수당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본 기사를 통해 주휴수당 지급 조건 및 계산법 그리고 미지급 된 주휴수당을 받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주휴수당 발생 조건에 대해 알아보자. 1주일 동안 소정근로일을 개근하면 된다. 이때 지각이나 조퇴는 결근이 아니므로 포함되지 않는다. 단, 법정공휴일(설날, 추석 연휴)은 무급휴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일에는 출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주휴수당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자. 만약 시급이 8,350원이고 .. 2023. 2. 25. 이전 1 다음